순식간에 원하는 결과를 끌어내는 결정적 행동의 비밀이라는 타이틀에 끌려 보게 된 책.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살아갈 때 편리한 방법론이라고나 할까? 그런 것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큰 줄기로는

1. 혐상을 통한 내편 만들기
2. 미래에 이루어 지는 소원을 그리는 것에 대한 얘기
3. 창조성은 도대체 어디서 오는가?
4. 스트레스는 어떻게 잠재우는 것일까?
5. 합리적인 선택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등이다.

1. 협상을 통한 내편 만들기
첫번째로 협상을 통한 내편 만들기는 그 활용편으로 면접을 들고 있는데 꽤나 흥미롭다.
1) 첫번째 화두로는 과도한 compensation에 관한 이야기로서,
    아이들에게 돈을 주고 그림을 그리게 하거나, 그냥 그리게 한 후
    누가 더 즐겼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돈을 받고 그림을 그린 아이가 less happy하다는 것이다. 
    아이의 로직은 이렇다. 
다른 사람들이 싫어하는 일을 시키니까 돈을 주는구나

   아 이렇게도 생각할 수 있다는 걸 너무 몰랐다.

2) 면접관에게 나의 결점을 얘기하려면 언제 얘기해 줘야 하는가
    처음부터 털어 놓고, 마지막에 반전을 통해 그럴수 밖에 없어구나로 장식하는 것이
    가장 호감도가 높았다고 한다.
    이것은 또한 사람들에게 호감도를 증가시키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하지만 depends on what? 이것은 남들이 나를 너무 완벽하려고 하는 사람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을 때 그렇다. 
    - 한가지 comment로는 나의 실수를 나는 과대평가한다는 의미이다.

3) 프랭클린의 부탁,
    프랭클린은 호감을 받기 위해, 일부러 부탁을 먼저 했다고 한다. 
    내 개인적 부탁을 들어준 사람은 나에게 호감을 갖게 되며 더 큰 부탁을 들어줄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이건 어째 좀 충격적이기도 하다. 

 4) 뒷담화의 위력
     뒷담화를 할 때는 좋은 말을 해야 한다.
     왜냐하면 뒷담화는 나를 통해서 그사람의 얘기를 듣는 것이기 떄문에,
     그 사람을 나에게 투영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5) 설득의 팁
     개인적인 레벨로 말할 수록 설득의 힘은 강해진다.
     예) 탄자니아인의 고통을 덜어주세요와 탄자니어 어느 소녀의 이야기를 들려준후 그 소녀를 도와주세요
          어느쪽이 더 많이 도움을 받았겠는가?

 6) 왜 아무도 나를 도와주지 않는 걸까?
     이것은 사람들이 많이 있는 곳에서는 책임분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매직넘버 3, 즉 3사람 이상이 같은 행동을 하면 다른 사람도 따라하게 되는 솔루션도 있다.

 7) 내가 무엇인가를 호의를 베푼후, 그것을 되받고 싶을 때는
     보답을 최대한 빨리 요구하는 것이 가장 좋다.

2. 미래에 내 모습을 그리기

  1) 장미빛 미래를 상상하는 것은 기분이 좋아지는 것에 도움이 되지만
      실제로 동기부여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데, 그것이 안되었을 경우 최악의 경우를
      상상하는 것이 오히려 동기 부여에 도움이 되며, 이를 이중사고라고 한다. 
      (또는 ACHIVE후에 혜택과, 마주치게될 난관을 그리는 것도 한 방법)

  2) 차이가르니크효과 
      차이가르니크효과는 아주 흥미로운 효과로서, 뇌의 기억력과 관계가 있다.
      일단 종료된 사건이라고 생각이 들면 뇌는 그 일을 처리해서 오래 기억할 것인가
      아니면 잊어도 될 것인가를 판단해서 분류하게 되는데, 
      이때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이 통하기도 한다. 일단 시작을 해 놓고 끝을 안보면
      뇌는 불안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불안하다는 것은 일단 끝을 내고 싶다는 욕망을
      불러 일으킨다고 한다.
      예) 웨이터에게 계산전과 계산후에 금액이 얼마였는지 물어보면
           기억확률이 현저히 다르다.

      차이가르니크효과

3. 창조성
   1) 직관에 의해서 창조성이 나온다는 의견을 피력했는데,
       예를 들면 어려운 일을 맞닥트렸을 때 다른 머리 쓸 일을 찾아서 하다가 다시 돌아온다는 식이다. 

4. 유혹의 기술
    1) 호의는 무엇을 간절히 원할 때 까지 베풀지 말고 간절히 원할 때 베푸는 거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Statement. 누구든 원치는 않지만 금지된 것은 유혹적이라는 것.

    2) 여성에게 말을 걸때는 팔을 터치하라 (스킨쉽)
        여성의 스킨쉽을 의식적으로 판단하지는 않지만, 무의식적으로는 그 남자의 지위를 높게 평가한다.
        "만지는 사람"이 "만져지는"사람보다 지위가 더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3) 상대방의 행동을 따라하라.
        약간씩 따라하면 호감도가 증가한다. - 너무 따라하면 놀려지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 -

    4) 상상해 보세요
        라는 말을 자주하라. 이것은 호감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애용된다.

5.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
    1) 나쁜 일에 대해서 Lesson, 이점을 생각하면 오히려 좋아진다. 
요거를 담번엔 요렇게 처리하자라는 식

        또는 되돌릴 수 없는 일이라면 원래 어쩔 수 없었다고 생각의 범주로 넣어버려야 하며,
        그랬으면 좋았을 텐데라는 statement는 지금이라도 하면 된다로 바꾸면 된다.

쩝.